7월31일 세종시의회 박란희 의원 사무실에서 세종시 다문화 학생 지원 현황 보고회가 있었다. 박란희 의원은 하반기부터 교육안전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다문화 학생 수가 증가하는 현상은 여러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특히 한국에서도 이러한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세종시에도 꾸준히 다문화 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박란희 의원은 현재 다문화 학생들의 문제점과 어려움은 어떤지 시 교육청 담당자들로부터 보고를 받았다. 주요 사회적 문제로는 언어 장벽으로 다문화 학생들은 한국어가 익숙하지 않아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이는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친구를 사귀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도 장애가 될 수 있다. 또 문화적 차이와 편견으로 자신의 문화적 배경으로 인해 차별이나 편견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은 학생들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교생활에 대한 불안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정체성 혼란으로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다양한 문화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자기 인식과 소속감에 영향을 주어 사회적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정 내 갈등으로 부모와 자녀 간의 문화적, 언어적 차이로 인해 가정 내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부모는 자녀가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를 바라지만, 자녀는 가족의 문화적 전통을 지키려는 갈등 상황을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고립으로 문화적 차이로 인해 친구를 사귀는 데 어려움을 겪고, 그 결과 사회적으로 고립될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학교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게 하며, 심리적 스트레스와 외로움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에 세종시 교육청 다문화 교육 담당자께 현황 보고를 받고 앞으로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시 교육청 담당자께서는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공교육 진입 절차 지원, 한국어 교육 지원강화, 다문화 강화, 다문화 학생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건의 사항) 등 다문화 학생의 공교육 적응을 위한 한국어 및 기초학력 지원과 이주 배경 특성을 살린 인재 양성 지원 정책의 한 단계 도약을 위해 시 의회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지를 요청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다문화 학생들이 한국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성장하고, 미래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을기자 정우순
7월31일 세종시의회 박란희 의원 사무실에서 세종시 다문화 학생 지원 현황 보고회가 있었다. 박란희 의원은 하반기부터 교육안전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다문화 학생 수가 증가하는 현상은 여러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특히 한국에서도 이러한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세종시에도 꾸준히 다문화 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박란희 의원은 현재 다문화 학생들의 문제점과 어려움은 어떤지 시 교육청 담당자들로부터 보고를 받았다. 주요 사회적 문제로는 언어 장벽으로 다문화 학생들은 한국어가 익숙하지 않아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이는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친구를 사귀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도 장애가 될 수 있다. 또 문화적 차이와 편견으로 자신의 문화적 배경으로 인해 차별이나 편견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은 학생들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교생활에 대한 불안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정체성 혼란으로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다양한 문화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자기 인식과 소속감에 영향을 주어 사회적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정 내 갈등으로 부모와 자녀 간의 문화적, 언어적 차이로 인해 가정 내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부모는 자녀가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를 바라지만, 자녀는 가족의 문화적 전통을 지키려는 갈등 상황을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고립으로 문화적 차이로 인해 친구를 사귀는 데 어려움을 겪고, 그 결과 사회적으로 고립될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학교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게 하며, 심리적 스트레스와 외로움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에 세종시 교육청 다문화 교육 담당자께 현황 보고를 받고 앞으로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시 교육청 담당자께서는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공교육 진입 절차 지원, 한국어 교육 지원강화, 다문화 강화, 다문화 학생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건의 사항) 등 다문화 학생의 공교육 적응을 위한 한국어 및 기초학력 지원과 이주 배경 특성을 살린 인재 양성 지원 정책의 한 단계 도약을 위해 시 의회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지를 요청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다문화 학생들이 한국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성장하고, 미래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을기자 정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