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등 주민 편의성 제고… 스마트 교통 플랫폼 통합으로 서비스 개선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가 읍면지역 주민들을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두루타버스의 이용 편의를 대폭 강화한다. 시는 오는 31일부터 연동·부강·전동 지역 일부 정류장에 호출벨 서비스를 시범 도입하고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호출벨 설치는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고령자 등 교통약자를 배려하고, 두루타버스 이용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호출벨 도입으로 간편한 이용 환경 구축
기존 두루타버스는 스마트폰 앱 또는 콜센터(☎1877-5712)를 통해 실시간 호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번 호출벨 설치로, 버튼 하나로 콜센터와 연결되어 탑승 인원을 확인하고 차량 도착시간 안내까지 받을 수 있는 더욱 직관적이고 간편한 이용이 가능해졌다.
시는 이용률이 높은 마을회관 등 84곳을 우선 대상으로 호출벨을 설치했으며, 이를 통해 주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두루타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호출벨 도입과 함께, 기존의 민간 두루타 앱은 세종시의 통합교통플랫폼 ‘이응패스’ 앱으로 통합된다. 이를 통해 두루타버스 이용 절차가 간소화되고, 대중교통 이용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개선된다.
세종시는 2019년부터 교통 소외지역인 읍면 지역 주민들의 이동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두루타버스를 운영해왔다. 특히, 지난해 10월부터 연동·부강·전동지역에 실시간 예약 호출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두루타버스는 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서비스 개시 13개월 만인 올해 10월 기준, 월간 평균 탑승 인원은 9,000명을 돌파하며 지역 주민의 생활 편의를 크게 향상시켰다.
최민호 시장은 “두루타버스는 세종시가 스마트모빌리티 선도 도시로 나아가는 중요한 교통수단”이라며, “읍면지역 주민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시는 두루타버스를 중심으로 한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교통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번 호출벨 도입과 플랫폼 통합은 지역 대중교통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을기자 김용목
고령자 등 주민 편의성 제고… 스마트 교통 플랫폼 통합으로 서비스 개선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가 읍면지역 주민들을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두루타버스의 이용 편의를 대폭 강화한다. 시는 오는 31일부터 연동·부강·전동 지역 일부 정류장에 호출벨 서비스를 시범 도입하고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호출벨 설치는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고령자 등 교통약자를 배려하고, 두루타버스 이용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호출벨 도입으로 간편한 이용 환경 구축
기존 두루타버스는 스마트폰 앱 또는 콜센터(☎1877-5712)를 통해 실시간 호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번 호출벨 설치로, 버튼 하나로 콜센터와 연결되어 탑승 인원을 확인하고 차량 도착시간 안내까지 받을 수 있는 더욱 직관적이고 간편한 이용이 가능해졌다.
시는 이용률이 높은 마을회관 등 84곳을 우선 대상으로 호출벨을 설치했으며, 이를 통해 주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두루타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호출벨 도입과 함께, 기존의 민간 두루타 앱은 세종시의 통합교통플랫폼 ‘이응패스’ 앱으로 통합된다. 이를 통해 두루타버스 이용 절차가 간소화되고, 대중교통 이용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개선된다.
세종시는 2019년부터 교통 소외지역인 읍면 지역 주민들의 이동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두루타버스를 운영해왔다. 특히, 지난해 10월부터 연동·부강·전동지역에 실시간 예약 호출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두루타버스는 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서비스 개시 13개월 만인 올해 10월 기준, 월간 평균 탑승 인원은 9,000명을 돌파하며 지역 주민의 생활 편의를 크게 향상시켰다.
최민호 시장은 “두루타버스는 세종시가 스마트모빌리티 선도 도시로 나아가는 중요한 교통수단”이라며, “읍면지역 주민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시는 두루타버스를 중심으로 한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교통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번 호출벨 도입과 플랫폼 통합은 지역 대중교통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을기자 김용목